...

더 나은 내일을 살기 위한 고군분투

Rather be dead than cool.

재태크/주식

[주식 초보자 가이드-5] 정규장, 장외시장, 시간 외 종가, 시간 외 단일가, 거래량, 체결강도 정의

purplesun 2020. 12. 2. 17:33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주식 시리즈에서 미처 다루어지지 못했던

주식 거래장의 시간에 관련된 용어들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해드리고

거래량과 체결강도가 무엇인지, 어떻게 보는 것인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헷갈릴 수 있으니 시간 순으로 설명해드릴건데요, 먼저 설명드리는 것이 가장 이른 시간,

이후에 설명드리는 것이 더 늦은 시간에 이루어지는 거래를 뜻하는 말입니다.

 

 

1. 장전거래 / 시간 외 거래

08:30 ~ 08:40

전일 종가로 매매가능한 시간입니다.

다만 수량이 적고, 매도를 걸어놓는 사람이 있어야만 매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에는 거래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동시호가

08:30 ~ 09:00

15:20 ~ 15:30

동시호가는 장 시작 전에 한 번, 장 끝나기 전에 한 번

총 하루에 두 번 이루어지며, 주문 건마다 체결되는 정규시장과 달리

해당시간까지 주문접수하여 한 번에 체결됩니다.

 

때문에 주문을 걸었는데 체결이 안 된다고 취소하지 마시고

동시호가 시간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셔야 체결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3. 정규 주식시장 운영시간

09:00 ~ 15:30 (월~금 / 주말&공휴일 미운영)

이 시간대에는 주문 건마다 바로바로 체결됩니다.

 

 

 

4. 장마감거래 (장후 시간 외) / 시간 외 거래

1) 15:30 ~ 16:00

: 시간 외 종가로 거래 가능

당일 15:30 기준으로 마감된 금액에 거래가 가능합니다.

 

2) 16:00 ~ 18:00

: 시간 외 단일가로 거래 가능

 

1) 시간대의 거래와 달리 보통(지정가)와 마찬가지로 금액과 수량을

모두 입력하여야 합니다. 가격 제한 폭은 정규장에서 ± 30%인 것과 달리

± 10%이며, 10분 단위로 매매를 모아 한 번에 체결되기 때문에 거래가

드문드문 이루어집니다. 또한 매도자가 있어야만 매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매도자가 없을 경우 매수할 수 없습니다.

 

 

 

5. 거래량

: 거래소 안에서 매매된 주식수를 말합니다.

매도가 100주, 매입이 100주 되었을 때 거래량은 100주가 됩니다.

거래량은 가격흐름 뒤에 숨어있는 투자자들의 거래에 대한 요구도의 

척도이므로, 시장추세의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래량이 많다 =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는 뜻으로 해석하실 수 있겠습니다. 

 

같은 장대양봉일 경우에도 거래량이 적은 장대양봉보다는

거래량이 높은 장대양봉의 매수세가 큽니다. 

 

이 거래량에 매매가 성립된 가격을 곱한 것을 거래대금이라 합니다. 

 

 

6. 체결강도

: 주식시장에서 특정 종목이 현재 시점에서 매수세가 강한지 아니면

매도세가 강한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거래 시간 동안에 매수체결과 매도체결 간의 비율로 산출됩니다.

매수 체결량 = 매도체결량 일 때 체결강도는 100%라고 표시합니다.

체결강도가 100%보다 낮으면 매도세가 강해 매도 체결량이 많다는 뜻으로

투자자들이 지금의 시장가를 비싸다고 생각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실질적인 매수, 매도의 체결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지만

거래량이 적을 경우 체결강도의 변동이 쉽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거래량이 많은 종목에서 보다 많이 활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규장과 장외시장에 대해서 알아보고, 거래랑, 체결강도의 

정의에 대해 설명해드렸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용어들을 특히 주식을 매수, 매도 타이밍에

꼭 알아두셔야 하는 용어니까 잊지 마시고 이전 편에서 소개해드렸던 기본 용어들과 함께

실제로 주식거래를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저는 다음 포스팅에서 찾아뵙겠습니다!

 

 

 

 

이전 시리즈 포스팅은 여기에!

[주식 초보자 가이드-1] 주식 개장시간, MTS, HTS, 시가, 종가, 매수, 매도, 양봉, 음봉 용어 정리

[주식 초보자 가이드-2] 호가, 상한가, 하한가, 공시, 공매도 용어 정리

[주식 초보자 가이드-3]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C)의 차이점?

[주식 초보자 가이드-4] PER, PBR, EPS, ROE 정의

728x90